사용자:Gcd822/토목기사 오답노트/상하수도 공학/상수도시설 계획

계획급수량의 산정 편집

♣♣♣14-1, 14-2, 15-2, 16-4, 18-1, 19-1 종합적인 이해 필요

시간 최대급수량 또는 화재시 수량을 계획 기준수량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은?

  • 배수관망

정수를 위한 약품, 전력 등 산정이나 유지관리비, 수도요금 산정 등 수도재정 계획의 기준이 되는 급수량은?

  • 1일 평균 급수량(예상)

상수도 정수시설 규모 결정 시 사용되는 설계정수량은?

  • 계획 1일 최대급수량. 상수시설 계획 송수량도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을 기준으로 정함

계획 1일 평균 급수량 편집

 

생활 수준이 높고 공업도시일수록 1인 1일 평균급수량이 증가한다. 수도 요금을 정액제로 할 때가 종량제로 할 때보다 1인 1일 평균급수량이 커진다. 수압이 높을수록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평균 급수량 역시 증가한다.

계획 1일 최대 급수량 편집

상수도 시설 규모, 1일 계획 취수량 결정의 기준이 되는 급수량이다.

 

계획 시간 최대 급수량 편집

1일 중 사용 수량이 최대가 될 때의 1시간 당 급수량이다. 배수본관의 설계 시 이용된다.

 [1][2]

계획오수량 vs 계획급수량
구분 계산식 농촌, 주택,

소도시

주택,

아파트

중소도시 대도시

공업도시

다음의 설계에 사용
1일 평균 급수량 1일 최대 급수량 X 0.7 0.85 수도재정 계획(약품비, 전력비,

유지관리비, 수도요금)

오수량 1일 최대 오수량 X 0.80
1일 최대 급수량 1일 평균급수량 X 1.5 1.3 상수도시설 규모,

1일 계획 취수량,

계획 송수량

오수량 (1인 1일 최대 오수량 × 계획 인구) + 공장 폐수량 + 지하수량 + 기타 배수량 하수처리장 규모
시간 최대 급수량 1일 최대 급수량/24 X 2.0 1.5 1.3 배수본관
오수량 1일 최대 오수량/24 X 1.8 오수관,

하수처리장 내 연결관거

1. 96

급수인구 20만, 계획 1인 1일 최대 급수량 300L, 급수 보급률 85%, 급수량 산출계수 0.7일 때 계획 1일 평균 급수량(m3)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은 명수만큼 곱해야되니까 300L × 20만 명

그 다음 급수 보급률 0.85와 급수량 산출계수 0.7을 곱하면 35700000L. 이걸 m3으로 고치려면 10-3을 곱해주면 된다. 답은 35700m3

오류 의심

급수인구는 이미 총인구에 급수보급률을 곱한 것[3][4]이기 때문에 0.85를 제외하고 계산하여 42000m3이어야될 것 같다.

집수매거 편집

 
1925년 샌프란시스코의 집수매거

복류수 취수 시 쓰임

15-1, 17-1, 18-3

  • 집수매거 내 평균유속은 유출단에서 1m/s
  • 집수개구부(공) 직경은 10-20cm. 1m2 당 20-30개
  • 직접 지표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매설깊이는 5m 이상
  • 복류수 흐름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해야 효율이 좋음

호소의 물순환 및 부영양화 편집

부영양화 대책

12-3, 13-1, 16-1, 19-3

  • 활성탄, 황산동(CuSO4), 염산동(CuCl2)
  • 정수장에서 마이크로 스트레이너 전처리

BOD 편집

  • 하천수 5일 BOD(BOD5)에서 주로 측정되는 것은 탄소성 BOD(17-1)

BOD 잔존량 편집

02, 06, 15-1, 19-2

 

t일 후 잔존하는 BOD(mg/L)를  

 
  : 최초 BOD(mg/L) 또는 최종 BOD(=BODu)
  : 탈산소 계수(day-1)
t : 경과 시간(day)

BOD 소비량 편집

15-3

t일 동안 소비된 BOD(mg/L)를 Y(예 :  )라 하면,

 

15-3, 16-2

탈산소계수 0.1/day. 어느 폐수의 5일 BOD = 300mg/L. 이 폐수의 3일 후 남아있는 BOD?


5일 BOD = BOD 소비량 = Y = 300mg/L

 

 

3일 후 잔존 BOD 계산

 



2. 96, 03, 06

최종 BOD가 5일 BOD의 1.8배. 밑 10인 상용대수를 쓸 때 탈산소계수?


BOD 소비량 공식

 
 
 
 

하천 합류 시 오염물질 농도 변화 편집

A하천과 B하천이 합류된 하천의 오염 물질 농도(Cm)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하천의 유량을 QA, 오염 물질 농도를 CA라 하고, B하천의 유량을 QB, 오염 물질 농도를 CB라 할 때, 여기서 말하는 오염 물질 농도는 BOD 등이 가능하다.

15-1, 19-2

 

각주 편집

  1. 이종형 외. 《상하수도 공학》 5판. 구미서관. 30쪽. 
  2. 노재식 외 (2016). 《토목기사 필기 상하수도공학》. 한솔아카데미. 31쪽. 
  3.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 상수도 이용 현황
  4. KDS 57 10 00 :2017 상수도설계 일반사항 2.5 기본사항의 결정

참고 문헌 편집

  • 이종형 외. 《상하수도 공학》 5판. 구미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