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에 의하면, 도는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원으로서, 이 생성 과정에서 각 사물은 근원적인 도에서 얻어 가지는 것[得也]이 있는데, 이것을 덕(德)이라 하였다. 덕이라 하면 인의(仁義)의 덕만 생각하기 쉬운데, 그것은 유가의 경우에 인간만 가지고 있는 덕이다. 그런데 노자에 있어서는 인의가 인위적인 것이라 하여 부정되었다. 노자가 말하는 덕은 인의보다 더 근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만물이 도에서 부여받은 어떤 자연스런 능력, 힘을 뜻한다. 모든 만물 속에는 도와 덕이 있다. 만물이 도에 의해서 생기고[生], 덕에 의해서 이루어지기[成] 때문이다.

— 고등학교 철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5. 292-293쪽.

서양 어원

편집

빅터 매어(1990)는 에 대하여 인도유럽조어(PIE) 어원을 제안한다.

은 주나라 초기(기원전 1100-600년경)에는 대략 dugh 으로 발음되었다. 그 이후 문헌에서 그것이 뜻하는 바는 “성격, [선하거나 악한] 의지, 품격, 기질, 인품, 인간성, 인간적 장점, 가치” 등이었다. 이러한 의미들과 인도유럽조어 dugh ("알맞다, 쓸모있다, 적합하다, 적당하다, 얻다")에서 파생한 단어들 사이에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것과 관련된 튜톤어 동사 dugan 에서 파생한 수많은 단어들이 존재한다. 고대고지게르만어 tugan, 중세고지게르만어 tugen, 현대도이치어 taugen 등이 있는 바, 이 모두는 “유익하다, 알맞다, 쓸모있다”를 뜻한다. 현대 영어 doughty ("가치있다, 용감하다, 자신만만하다")와 관련된 친족어군도 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도와주고 있다. [...]

현대네덜란드어에서 deugd 로 번역된다. 동사deugen 는 “덕이 있다”를 뜻한다.

언어 고대 중세 현대
도이치 tugan tugen taugen 쓸모있다
도이치 Tugend
도이치 tuht tuht Tucht
  • 도이치어
고대
중세
현대

뜻

tugan
tugen
taugen

쓸모있다
유익하다
 
 
Tugend
zuht
zuht
Zucht

사육
수련

덕의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