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 공학/수원, 취수
< 상하수도 공학
수원 종류
편집- 천수(meteoric water)
- 지표수(surface water)
- 하천수
- 호소수
- 지하수(ground water, subsurface water)
- 천층수(shallow water)
- 심층수(deep water)
- 용천수(spring water)
- 복류수(river bed water) = 강변여과수
- 기타
천수
편집- 지면 강하→증발, 침투, 유출
- 집수에 저수조 사용.
저수조 연 저수량
- C : 유출계수(증발, 침투능에 반비례. 강우 횟수에 비례)
- H : 연 강우량(깊이)
- A : 집수면적
지표수
편집- 대한민국에서 대규모 상수원으로 가장 많이 이용.
- 간편한 취수 가능
- 오염 가능성 큼.
- 부유성 유기물(SS) 많다.
- 작은 경도
- 공기가 용해되어 있음.
수량, 수위
편집♣♣♣
홍수위 | 홍수기간 중 지속되는 하천 수위. 수공구조물 설계의 기준 | ||
풍수위 | 1년 중 | 95일 | 동안은 이 수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의 수위 |
평수위 | 185일 | ||
저수위 | 275일 | ||
갈수위 | 355일 |
( ~ )수량은 위에서 '수위'만 바꿔주면 됨.
자정작용
편집Whipple의 4 지대 ♣♣♣ : 분해지대 - 부패지대 - 회복지대 - 청수지대
- 분해지대 : 오염유입지점 근거리.
♣♣♣
자정계수가 1보다 크면 자정작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고, 1보다 작으면 자정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수질 오염이 가속화된다.
- 여름, 수심 얕고 급류, 하상이 돌, 모래질인 경우 활발
- 물리적 자정 : 오염물 운반, 희석, 확산, 혼합, 침전(침전이 가장 큼)
- 화학적 자정 : 산화, 환원, 흡착, 중화
- 생물학적 자정 : 미생물, 조균류 등에 의한 호기성 분해(산화), 혐기성 분해(환원)
적조현상
편집♣♣♣
상업폐수가 도시하수 유입→부영양화→식물성 플랑크톤 대번식→해수가 적색 또는 녹색으로 변화
하천수
편집- 지표, 지중, 천수 중 물질 함유
- 수질과 유량은 관계있다.
호소수
편집성층현상
편집♣♣♣
수심에 따른 온도차, 물의 밀도 변화로 인해 순환대, 변천대, 정체대로 구분되는 현상.(명칭 기억 안 나네 ㅋㅋ)
- 여름, 겨울 발생
- 여름이 겨울보다 수심에 따른 수온차이가 더 크다.
전도현상
편집- 깊은 호수에서는 봄 가을에 물의 수직운동에 의해 바닥 침전물이 수중으로 다시 떠올라 수질이 나빠질 수 있다.
- 전도현상 없으면 비교적 깨끗한 물 취수 가능.
부영양화
편집특징 ♣♣♣
- 유기물 증가로 DO, 투명도 감소, COD 증가
- 수심 낮은 곳 발생.
- 한번 발생 시 회복 힘듦. 상수원으로 사용 어려움.
부영양화 대책
편집♣♣♣
- 활성탄, 황산동(CuSO4)
- 유기성 하수 유입 방지
- 하수 배출과정에 인, 질소 고도처리 추가
- 인 사용 합성세제 사용량 감소, 억제
지하수
편집♣♣♣
- 천층수 : 지표면 침투하여 1불투수층 윗면을 흐르는 자유수면 지하수
- 심층수 : 지하 1 불투수층과 2불투수층 사이 피압면 지하수
취수
편집♣♣♣
- 계획취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 기준(배수, 급수시설 손실 고려)
- 계획취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보다 5-10% 커야함(도수, 송수시설 손실, 작업용수 고려)
- 급속여과지 역세척수로 5% 쓰임.
호소수 취수
편집♣♣♣ 갈수기 계획저수위(보통 재현기간 10년)에도 취수량 확보 가능해야 함.
저수지 용량 결정방법
편집♣♣♣ 종류 : 강우자료에 의한 방법, 가정법, 이론법
가정법
편집용량(1일 계획급수량의 배수) ♣♣♣
- R : 연평균 강우량(mm)
답은 C일 분으로 나온다.
이론법
편집♣♣♣ 유출량 누가곡선법(Ripple's method)
- 기록 자료를 토대로 하천 유출량 누가곡선(저수지로의 유입 누가수량) OA를 그린다.
- 계획 취수량 누가직선(월별 소요수량 누가직선, 저수지로부터의 유출 수량) OB를 그린다.
- 하천 유량 누가곡선에서 증가세가 감소하는 부분(CD, EF)가 있는데, 이 부분은 저수지로 유입되는 수량보다 유출되는 수량이 더 많아 수위가 감소하는 구간이다. 실제로는 이 구간들이 여러 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구간의 시작점인 C와 E점에서 계획 취수량 누가직선 OB에 평행한 직선 CG, EH를 긋는다.
- 직선 CG와 EH와, 하천 유출량 누가곡선 OA와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 DI와 FJ를 선정한다. 이때의 차이값을 부족수량(유효 저수량)이라고 한다.
- DI와 FJ 중 더 큰값이 소요 저수지 용량이 된다.
- 단위 :
- m3으로 바꿔주어야 함. ♣♣♣
- 실제 저수량은 20-30% 더 함.
- 그래프에서 DI가 소요 저수지 용량으로 채택되었다고 할 때, D점에서 계획 취수량 누가직선 OB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하천 유출량 누가 곡선과 만나는 점 K를 찾을 수 있고, K점에서 시간축에 수선을 내리면 저수를 시작하는 날(저수시점 ♣♣♣) L을 구할 수 있다.
예제 - 유효 저수량 계산
월 | 유입량 | 취수량 |
1 | 10 | 10 |
2 | 10 | 10 |
3 | 10 | 10 |
4 | 20 | 10 |
5 | 20 | 10 |
6 | 30 | 10 |
7 | 40 | 10 |
8 | 50 | 10 |
9 | 40 | 10 |
10 | 5 | 10 |
11 | 4 | 10 |
12 | 20 | 10 |
누가량 계산
월 | 유입량 | 취수량 | 누가 유입량 | 누가 유출량 |
1 | 10 | 10 | 10 | 10 |
2 | 10 | 10 | 20 | 20 |
3 | 10 | 10 | 30 | 30 |
4 | 20 | 10 | 50 | 40 |
5 | 20 | 10 | 70 | 50 |
6 | 30 | 10 | 100 | 60 |
7 | 40 | 10 | 140 | 70 |
8 | 50 | 10 | 190 | 80 |
9 | 40 | 10 | 230 | 90 |
10 | 5 | 10 | 235 | 100 |
11 | 4 | 10 | 239 | 110 |
12 | 20 | 10 | 259 | 120 |
그래프 그리기
9월에서 누가유출량 곡선과 평행하게 그으면 누가 유입량의 최저점인 11월엔 원래 230(9월 누가유입량) + 10 + 10 = 250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11월 누가유입량은 239이다. 250 - 239 = 11만큼 부족하다. 유효저수량은
유입량, 취수량 그래프의 10, 11월 값의 차이를 통해 검산이 가능하다.
10월 : 10 - 5 = 5
11월 : 10 - 4 = 6
취수시설
편집♣♣♣
- 하천수 : 취수관, 취수탑, 취수문, 취수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