ϵ
=
f
r
E
c
{\displaystyle \epsilon ={\frac {f_{r}}{E_{c}}}}
ϕ
=
ϵ
0.5
h
{\displaystyle \phi ={\frac {\epsilon }{0.5h}}}
단철근 콘크리트 보의 균열 발생 이전 거동
편집
f
c
c
=
E
c
ϵ
c
c
=
E
c
ϕ
c
{\displaystyle f_{cc}=E_{c}\epsilon _{cc}=E_{c}\phi c}
f
c
t
=
E
c
ϵ
c
t
=
E
c
ϕ
(
h
−
c
)
{\displaystyle f_{ct}=E_{c}\epsilon _{ct}=E_{c}\phi (h-c)}
f
s
=
E
s
ϵ
s
=
E
s
ϕ
(
d
−
c
)
{\displaystyle f_{s}=E_{s}\epsilon _{s}=E_{s}\phi (d-c)}
단철근 콘크리트 보의 균열 발생 시 거동
편집
순서
중립축 c 계산
변형률 ε 계산
응력 f 계산
하중 N 계산
평형 확인
균열발생 모멘트 Mcr , 곡률 Φ 계산
응력분포도에서
∑
F
x
=
0
{\displaystyle \sum F_{x}=0}
N
c
c
−
N
c
t
−
N
s
=
0
{\displaystyle N_{cc}-N_{ct}-N_{s}=0}
이용.
이하는 생략
단철근 콘크리트 보의 균열 발생 후 거동
편집
M-Φ 상관거동 계산 순서
εcc 가정
철근 항복 여부 가정
Nc = NT 이용, 중립축 거리 c 계산
εs 계산
철근 항복 여부 검토
철근 항복 가정에 맞으면 M, Φ 계산
여러 점에 대해서 M, Φ 계산 반복하여 그래프를 그려준다. 대표적으로 다음 점들에 대한 값을 계산해주어야 한다.
콘크리트 인장균열발생점(이건 무근콘크리트 보로 보면 안 되고, 균열발생 시 거동 으로 풀어야 함.)
철근 항복 이전점
철근 항복점
철근 항복 이후점
ϵ
c
c
=
0.003
{\displaystyle \epsilon _{cc}=0.003}
(구조기준에서 정하는 콘크리트 극한응력상태 변형률)
β
1
=
{
0.85
−
(
f
c
k
−
28
)
×
0.007
≥
0.65
(
f
c
k
>
28
M
P
a
)
0.85
(
f
c
k
≤
28
M
P
a
)
{\displaystyle \beta _{1}={\begin{cases}0.85-(f_{ck}-28)\times 0.007\geq 0.65&(f_{ck}>28MPa)\\0.85&(f_{ck}\leq 28MPa)\end{cases}}}
24년도 기준 베타 = 0.8
다음 세 점에 대해서 M, Φ 계산
콘크리트 균열점(무근 콘크리트 보로 보고 계산. 철근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철근 항복점(콘크리트 응력분포는 삼각형 ! M 계산 시 모멘트 팔길이 주의!! 사각형으로 하면 안 됨!)
콘크리트 압축파괴점
단철근 직사각형 보 M-Φ 곡선 연습문제1
편집
보통중량 콘크리트,
f
c
k
=
30
M
P
a
,
f
y
=
400
M
P
a
{\displaystyle f_{ck}=30MPa,\ f_{y}=400MPa}
일 때 M-Φ곡선을 정산, 약산을 이용하여 각각 그리시오. b = 280mm, d = 720mm, h = 800mm,
A
s
=
4800
m
m
2
{\displaystyle A_{s}=4800mm^{2}}
이다.
하중 계산
N
c
c
=
1
2
f
c
c
b
c
=
1
2
×
4.27
×
280
×
443.1
×
10
−
3
=
264.89
k
N
⋅
m
{\displaystyle {\begin{aligned}N_{cc}={\frac {1}{2}}f_{cc}bc&={\frac {1}{2}}\times 4.27\times 280\times 443.1\times 10^{-3}\\&=264.89kN\cdot m\\\end{aligned}}}
N
s
=
A
s
f
s
=
4800
×
19.38
×
10
−
3
=
93.024
k
N
⋅
m
{\displaystyle {\begin{aligned}N_{s}=A_{s}f_{s}&=4800\times 19.38\times 10^{-3}\\&=93.024kN\cdot m\\\end{aligned}}}
N
c
t
=
1
2
f
c
t
(
h
−
c
)
b
=
1
2
×
3.45
(
800
−
443.1
)
×
280
×
10
−
3
=
172.383
k
N
⋅
m
{\displaystyle {\begin{aligned}N_{ct}={\frac {1}{2}}f_{ct}(h-c)b&={\frac {1}{2}}\times 3.45(800-443.1)\times 280\times 10^{-3}\\&=172.383kN\cdot m\\\end{aligned}}}
M
=
A
s
E
s
ϵ
s
(
d
−
β
c
2
)
=
4800
×
2
×
10
5
×
1.19
×
10
−
3
(
720
−
0.7
×
328.6
2
)
×
10
−
6
=
691.14
k
N
⋅
m
{\displaystyle {\begin{aligned}M&=A_{s}E_{s}\epsilon _{s}\left(d-{\frac {\beta c}{2}}\right)\\&=4800\times 2\times 10^{5}\times 1.19\times 10^{-3}\left(720-{\frac {0.7\times 328.6}{2}}\right)\times 10^{-6}\\&=691.14kN\cdot m\end{aligned}}}
⑤
ϵ
s
=
ϵ
y
{\displaystyle \epsilon _{s}=\epsilon _{y}}
인 점
εcc
0.001
0.0015
0.0019
0.002
εs
0.00119
0.0016
≈
ϵ
y
=
0.002
{\displaystyle \approx \epsilon _{y}=0.002}
0.0022
α
0.592
0.74
0.8584
0.888
β
0.7
0.725
0.7452
0.75
철근항복점에선 약산이 적당한지 봐준다. εcc 계산, fcc 계산, C 계산, C = T인지 검토.
콘크리트 압축파괴점에서 철근 항복가정 검토 해줘야 함. 콘크리트 압축파괴점에서는
ϵ
s
>
ϵ
y
{\displaystyle \epsilon _{s}>\epsilon _{y}}
가 나오는지만 봐주면 됨.
단철근 직사각형 보 M-Φ 곡선 연습문제2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