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요약/수리수문학/강수, 증발, 침투

주요 값들 차원

  • 강우강도, 증발율, 침투능: [LT-1]
  • 유출율: [무차원]

출제 기준 편집

2019-2021

  • 수문학의 기초
    • 수문순환 및 기상학
    • 유역
    • 강수
    • 증발산
    • 침투

물의 순환 편집

  • 물 순환: 증발-강수-차단-증산-침투-침루-저류-유출
    • 지표면에 도달한 우수는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고 나머지가 아래로 침투해서 지하수가 된다.(15-3) "침투"라고 하긴 했지만 다른 선택지와 비교했을 때 옳다고 볼 수 있음.
    • 땅 속에 보류된 물과 지표하수는 토양면에서 증발하고 일부는 식물에 흡수되어 증산한다. (X) (15-3)
  • 전반적인 순환과정 이해하기 18-2
  • 유효유량(Re) = 강우 (R) - 손실우량(Rl) (확인 필요)
  • 심층지하수라 하더라도 물의 순환 과정에 포함되는 것임.(92)
  • 순환 과정 중 물의 이동은 일정률로 연속되지는 않는다. 시공간적 변동성 가짐.(12-3)

수문기상학 편집

기온 편집

00, 13-1

  • 일평균기온(mean daily temperature) :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을 산술평균하는 것. 하루의 시간별 기온을 평균할 수도 있고 3 또는 6시간 간격 기온을 평균할 수도 있음[1]
  • 월평균 기온(mean monthly temperature) : 월의 일 평균 기온 중 최고값과 최저값을 평균한 것.[1] 일평균 기온을 평균한 것이라는 설명도 있음.[2]
  • 연평균 기온 : 해당 년의 월 평균 기온 평균값[1]
  • 정상기온(normal temperature) : 특정일이나 월, 계절 혹은 연에 대한 최근 30년 평균기온[1]
    • 정상 일 평균 기온(normal daily temperature) : 특정일의 30년간 일 평균 기온을 평균한 기온[1]
    • 정상 월 평균 기온 : 특정 월에 대한 장기간(30년) 월 평균 기온의 산술평균값[1]

  • 대한민국에 편서풍과 열대지방 무역풍이 부는 것은 대기권 내 열순환에 의한 것임(03)

참고 자료

  • 임진근 외 (2015). 《토목기사 필기 과년도 수리수문학》. 성안당. 387쪽. 

상대습도, 증기압 편집

02, 09, 18-3

상대습도  

유역 편집

  •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어떤 유역에 태풍이나 호우 등의 최악의 기상 현상이 일어날 경우 가상의 최대 강수량을 의미. 대규모 수공구조물 설계홍수량 산정에 사용됨(19-1)(가능 최대 홍수량 결정 기준). 과거 자료를 분석하여 결정함.
  • 하상계수 (= 유량변동계수, coefficient of flow fluctuation) = 하천 어떤 지점의 동일 년도 (최대유량/최소유량)[3]

강수 편집

  • 일강우량이 0.1mm 이하이면 무강우 취급(96)

강수 결측치 보완 편집

98, 14-1, 18-1, 18-2

주변 관측소 A, B, C가 있고 X 관측소에 결측이 발생했다고 할 때, N을 정상연평균강수량(normal annual precipitation)이라 하면

단순비례법

산술평균법

 인 경우 적용(각각 관측소 A, B, C와 X의 N 차이를 비교해서)
 

정상연강수량 비율법(normal-ratio method)

 인 경우 적용(각각 관측소 A, B, C와 X의 N 차이를 비교해서)
 

강수 자료의 일관성 검증 편집

♣♣♣ 18-1

누가우량곡선(rainfall mass curve)에 의한 추정 : 자기우량계에 의해 기록되는 누가우량의 시간적 변화 상태(연속 시간 분포)를 기록한 것으로 강우가 클수록 곡선의 경사가 커짐.

이중누가곡선법(double mass analysis)

13-2, 14-2, 15-1

  • 강수 자료 일관성 검증에 씀
  • 우량계 위치, 노출상태, 유형, 관측 방법, 주위환경에 변화가 있을 때 실시
  • 문제 관측점 연 또는 계절 강우량 누적 총량을, 근방 관측점 강우량 누적 총량과 비교하여 일관성 검증함. 이중 누가우량곡선이 직선으로 표시되면 자료의 일관성이 있다고 판단.

강우강도 편집

♣♣♣

  • 강우강도(intensity): 단위 시간 당 강우량(mm/hr)
  • 지속시간(duration): 강우가 지속되는 시간. (min)
  • 생기빈도(rainfall frequency) : 일정 기간 동안 임의 크기의 호우가 발생할 횟수. 통상 임의의 강우량이 1회 이상 같아지거나 초과되는 데 소요되는 연수로 표시. 즉 어느 관측점의 연평균 강우량이 평균 100년에 한번씩 1500mm를 초과한다면 이 연평균 강우량의 재현기간은 100년, 생기빈도는 1/100이다.

최대 강우강도 구하기 1 (92)

시간 (분) 0-5 5-10 10-15 15-20 20-25 25-30
우량(mm) 2 4 6 4 8 6

20분 지속시간에 대한 최대강우강도?

우량을 연속으로 더해서 20분간 제일 합이 많은 구간을 선택한다. 표에 칠한 부분. 6+4+8+6 = 24mm 강우강도 단위 mm/hr로 단위변환.  

최대 강우강도 구하기 2 (99)

시간 (분) 0-5 5-10 10-15 15-20 20-25 25-30
우량(mm) 3 4.5 7 6 4 6

5분 지속 최대 강우강도?

그냥 7이 아님!! 5분간 최대 강우는 7mm지만, 1시간으로 바꾸면 7*12 = 84mm/hr가 답

최대 강우강도 구하기 3 (18-3)

시간 (분) 0-5 5-10 10-15 15-20 20-25 25-30
누가 우량(mm) 6 20 30 35 43 45

15분 지속 최대 강우강도?

그냥 우량이 아니라 누가우량이라는 것에 주의.

15분간 최대 우량인 구간은 0~15분일 때이므로 강우량은 30mm/15min

시간단위로 바꿔주면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식 편집

♣♣♣ 식 암기

  • Talbot:   (t a b +으로 외우기)
  • Sherman:  
  • Japanese:  
    • a, b, c, d, e, n은 지역에 따른 상수. 자기우량계 자료로부터 결정(14-3)
    • t : 지속시간(min)

기출문제) 20분간 강우강도식   사용했을 때 강우강도(mm/hr)는? t에 20분 고대로 대입해서 구하면 답은 80mm/hr. 분을 넣어도 시간이 나와서 이상하지만 알게 뭐야

모노노베(물부) 강우강도

 

  • R24: 일 강우량(mm)
  • t: 지속시간(hr)

유역 평균 강우량 편집

  • 유역 내 관측소 수가 많을수록 좋음
  • 종류 뭐뭐 있는지 나옴. 15-2, 18-2

산술평균법 편집

13-3

  • 평야, 500km2미만 유역면적
  • 강우분포 고른 경우 사용

티센(Thiessen) 가중법 편집

13-1

  • 산악 지형 비교적 적은 500-5000km2 유역면적에 사용
  • 티센 가중법은 관측소간 우량변화를 선형으로 단순화한 것임. 지형 영향 고려 불가 단점
  1. 관측소끼리 삼각형으로 잇기
  2. 이은 선분들에 수직이등분선 그어서 면적 분할
  3. 분할된 면적이 관측소 지배면적. 계산하면 끝

예제) 유역 내에 다섯 개의 관측소가 있다고 할 때

관측소별 관측값을 P, 지배면적을 A라고 하면 평균강우량은

 

만약 면적을 안 주고 면적비를 줘도 그냥 A 대신 면적비 넣어서 계산하면 됨

등우선법 편집

  • 유역면적 5000km2 이상, 산악 영향 고려 시에 사용
  • 유역 내 관측점 수 적으면 등우선 작성 시 오차 발생
  • 식은 티센가중법이랑 비슷함
  • 지형도 반드시 필요하지 않음(15-2)

IDF 해석 편집

강우강도(Intensity)-지속 기간(Duration, T)-발생빈도 (Frequency, t) 관계식

 

우량깊이 계산

IDF 곡선으로부터 20년빈도, 지속시간 2시간 강우강도 100mm/hr일 때 우량깊이?

2시간이므로 2*100mm/hr = 200mm (의외로 간단하네)

DAD 해석 편집

여러 가지 지속시간을 가진 강우가 다양한 유역 면적에 발생할 때 예상되는 지속 시간별 강우량을 유역별로 미리 수립하는 작업을 DAD 해석이라 함.

  • DAD해석: 최대우량깊이(Depth)-유역면적(Area)-지속기간(Duration) ♣♣♣ 16년에만 두번 출제(14-3, 16-4, 19-3)
  • 반대수지(세로축 : log축 / 가로축 : 산술축)
 
  • 필요자료: 관측점별,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누가우량곡선), 관측점 지배면적, 지형도
  • DAD값은 유역따라 다름
  • 최대평균우량은 유역면적에 반비례. 지속시간에 비례

작성 순서(14-2)

  1. 각 유역의 지속시간별 최대우량을 누가우량곡선으로부터 결정하고 전 유역을 등우선에 의해 소구역으로 나눔.
  2. 소구역의 평균 누가 우량 계산
  3. 소구역의 누가면적에 대한 평균 누가우량 구함
  4. 각 지속기간에 대한 최대 평균 우량 깊이를 소구역의 누가 면적별로 구한 후 반대수지에 표시하여 DAD 곡선을 그림.

참고 자료

  • 이재수. 《수문학》 2판. 구미서관. 
  • 임진근 외 (2015). 《토목기사 필기 - 수리수문학》. 성안당. 

증발 편집

  • 증발량: 증발접시에 의해 24시간 증발된 물깊이로 측정(03)
  • 증발비: 수면 증발량에 대한 토양면에서의 증발량 비
  • 증발산: 증발, 증산, 차단 포함.
  • 증발접시 계수 = 저수지 연 증발량 / 접시 연 증발량 (02) = 저수지 증발량의 증발접시 증발량에 대한 비(16-2)
  • 증발량은 동일 온도에서 포화증기압과 실제증기압 차에 비례함.
  • 증발산 산정법(14-2)
    • 증발접시 방법
    • 경험공식 이용(Dalton 공기 동역학적 법칙 이용)
    • 물수지 방정식 이용
    • 에너지수지 원리법
    • Penman 이론
  • 일 증발량 = 증발률 × 수면적 (98, 14-1) 복잡해보이는 계산문제로 나오는데 알고보면 간단함.

침투 편집

  • 토양면을 통해 스며든 물이 중력의 영향 때문에 지하로 이동, 지하수면까지 도달하는 현상은? 침루!!!
  • 침투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토양 다짐 정도
    • 토양 종류
    • 대기 온도(온도 따라 토양이 건조 또는 습윤한 정도가 다르기 때문)
    • 습도는 아님!!

침투능 결정 방법 편집

15-2

  • 침투계
  • 경험공식
  • 침투지수에 의한 방법

침투지수에 의한 방법 편집

Φ지수법 편집

계산문제 15-1

  • 큰 유역에 어떤 호우가 발생했을 때 그 유역으로부터 예상되는 유출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기 편리
  • 유출량과 손실량을 구분하여 손실량에 해당하는 강우강도를 Φ지표라 함.

W 지수법 편집

  • 강우강도가 침투능보다 큰 호우기간동안 평균 침투율이다.

각주 편집

  1. 1.0 1.1 1.2 1.3 1.4 1.5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33쪽. 청문각
  2. 이재수, <<수문학>> 34쪽
  3. 국토교통부 (2020). 《국가건설기준 용어집》. 3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