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어학/들머리/IPA
문자
편집조음 위치 → | 입술(순음) | 혀, 이(설음, 치음) | 어금니(아음) | 후음 | |||||||||||||||
---|---|---|---|---|---|---|---|---|---|---|---|---|---|---|---|---|---|---|---|
조음 방법 ↓ | 양순 | 순치 | 치 | 치경 | 후치경 | 치경구개 | 권설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인두 | 후두개 | 성문 | ||||||
폐 기류 | |||||||||||||||||||
비음 | m | ɱ | n | *ȵ | ɳ | ɲ | ŋ | ɴ | |||||||||||
파열음 | p b | t d | *ȶ *ȡ | ʈ ɖ | c ɟ | k ɡ | q ɢ | ʡ | ʔ | ||||||||||
마찰음 | ɸ β | f v | θ ð | s z | ʃ ʒ | ɕ ʑ | ʂ ʐ | ç ʝ | x ɣ | χ | ʁ | ħ | ʕ | ʜ | ʢ | h ɦ | |||
접근음 | ʋ | ɹ | ɻ | j | ɰ | ||||||||||||||
전동음 | ʙ | r | ʀ | ||||||||||||||||
탄음 | ⱱ() | ɾ | ɽ | ||||||||||||||||
설측 마찰음 | ɬ ɮ | ɬ̢ ɮ̢ | |||||||||||||||||
설측 접근음 | l | *ȴ | ɭ | ʎ | ʟ | ||||||||||||||
설측 탄음 | ɺ | ||||||||||||||||||
폐외 기류 | |||||||||||||||||||
내파음 | ɓ̥ ɓ | ɗ̥ ɗ | ʄ̊ ʄ | ɠ̊ ɠ | ʛ̥ ʛ | ||||||||||||||
흡착음 | ʘ | ǀ | ǃ | ǂ | |||||||||||||||
충격음 | ʬ | ʭ | |||||||||||||||||
설측흡착음 | ǁ |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단 반기식음h, ɦ는 예외다.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한 곳이다.
- 빈 칸으로 남겨둔 곳은 그에 맞는 기호가 없는 경우다.
- 별표가 붙어 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다.
- 순치 탄음의 기호는 최근 유니코드 5.1.0에 추가된 관계로 표시가 안 될 수도 있다. 순치 탄음의 공식 기호는 오른쪽에 고리가 달린 소문자 v 모양으로 다음 그림과 같다.
- 무성 권설 설측 마찰음의 기호는 유니코드 6.0에 추가될 관계로 표시가 안 될 것이다. 공식 기호는 ɭ에 벨트가 달린 형태다.
홀소리
편집전설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후설 | |
고모음 | |||||
근고모음 | |||||
중고모음 | |||||
중모음 | |||||
중저모음 | |||||
근저모음 | |||||
저모음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비원순 모음, 오른쪽이 원순 모음이다.
이중조음
편집ʍ |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w |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ɥ̊ | 무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
ɥ | 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
ɧ |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ʃ과 x을 동시에 조음) |
필요하면 파찰음 및 이중조음은 두 가지 기호를 연결선으로 연결해서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인 6개의 파찰음은 합자로도 제공되나 국제 음성 협회에서는 이를 권장하지 않는다:
합자 | 연결선 | 이름 |
---|---|---|
ʦ | t͡s | 무성 치조 파찰음 |
ʧ | t͡ʃ | 무성 치조후 파찰음 |
ʨ | t͡ɕ | 무성 치조구개 파찰음 |
ʣ | d͡z | 유성 치조 파찰음 |
ʤ | d͡ʒ | 유성 치조후 파찰음 |
ʥ | d͡ʑ | 유성 치조구개 파찰음 |
– | t͡ɬ | 무성 치조 설측 파찰음 |
– | d͡ɮ | 유성 치조 설측 파찰음 |
– | k͡p |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
– | ɡ͡b |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
– | ŋ͡m | 양순 연구개 비음 |
- Arial Unicode MS 폰트 사용자의 경우, 폰트의 버그 때문에 다음의 잘못된 조합이 더 잘 보일 것이다. ts͡ tʃ͡ tɕ͡ dz͡ dʒ͡ dʑ͡ tɬ͡ dɮ͡ kp͡ ɡb͡ ŋm͡.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픈 타입 폰트인 Segoe UI를 설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