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고등학교/수학/수학 Ⅰ(2007 개정)/행렬과 그 연산

행렬의 뜻 편집

두 다항식  은 다음과 같이 계수만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계수를 가로로 배열한 줄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다항식  를 나타내고, 계수를 세로로 배열한 줄에 있는 수는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해당되는 다항식의 이차항, 일차항, 상수항의 계수입니다.

  두 과일 가게에서 판매되는 사과 10 kg의 가격이 각각 22000원, 24000원이고, 배 10 kg의 가격이 각각 25000원, 27500원일 때, 이것을 다음과 같이 과일 가격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하고 괄호로 묶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수 또는 문자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하여 괄호로 묶은 것을 행렬이라고 하며, 행렬을 이루는 각각의 수 또는 문자를 그 행렬의 성분이라고 합니다.[1][2]

행렬에서 성분을 가로로 배열한 줄을 이라고 하며, 위에서부터 차례로 제1행, 제2행, 제3행, ⋯이라고 합니다. 또 성분을 세로로 배열한 줄을 이라고 하며,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제1열, 제2열, 제3열, ⋯이라고 합니다.[3]

한편  개의 행과  개의 열로 이루어진 행렬을   행렬이라고 합니다.[4] 특히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가 서로 같은 행렬을 정사각행렬이라고 하며,   행렬을  차 정사각행렬이라고 합니다.[5]

행렬은 알파벳 대문자  로 나타내고, 행렬의 성분은 알파벳 소문자  로 나타냅니다. 또 행렬  에서 제 행과 제 열이 만나는 위치에 있는 성분을 행렬    성분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행렬  를 기호  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두 행렬  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가 각각 같을 때,   는 같은 꼴이라고 합니다. 같은 꼴인 두 행렬  의 대응하는 성분이 각각 같을 때,   는 서로 같다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6] 예를 들어   행렬이 서로 같을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7]


두 행렬이 서로 같을 조건

 일 때,

 

행렬의 덧셈, 뺄셈의 뜻과 그 연산 편집

같은 꼴인 두 행렬  에 대하여   의 대응하는 성분의 합을 성분으로 하는 행렬을   의 합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8] 예를 들어   행렬의 덧셈은 다음과 같습니다.[9]


행렬의 덧셈

 일 때,

 


실수의 덧셈에서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행렬의 덧셈에서도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행렬의 덧셈에 대한 성질 ⑴

같은 꼴인 세 행렬  에 대하여

 
 (교환법칙)
 
 (결합법칙)[10]


모든 성분이  인 행렬을 영행렬이라고 합니다.[11] 예를 들어

 

은 모두 영행렬입니다. 영행렬은 각 꼴에 대하여 하나씩 있으나, 혼동의 염려가 없을 때에는 보통 기호  로 나타냅니다. 행렬  와 영행렬  가 같은 꼴일 때,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영행렬은 같은 꼴의 행렬의 집합에서 덧셈에 대한 항등원입니다. 또 행렬  의 모든 성분의 부호를 바꾼 행렬을  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일 때,  

입니다. 이때 행렬의 덧셈의 정의에 의하여 행렬  와 영행렬  가 같은 꼴일 때,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행렬  는 같은 꼴의 행렬의 집합에서 행렬  의 덧셈에 대한 역원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행렬의 덧셈에 대한 성질 ⑵

같은 꼴인 행렬  와 영행렬  에 대하여

 
 ( 는 덧셈에 대한 항등원)
 
 (  의 덧셈에 대한 역원)


같은 꼴의 두 행렬  에 대하여   의 덧셈에 대한 역원  를 더한  를 기호로

 

와 같이 나타내고, 이것을 행렬  에서 행렬  를 뺀 차라고 합니다.[12][13] 이때  는 행렬  의 각 성분에서 그에 대응하는 행렬  의 성분을 뺀 차를 성분으로 하는 행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렬의 뺄셈은 다음과 같습니다.[14]


행렬의 뺄셈

 일 때,

 


한편 같은 꼴의 세 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할 때, 이 등식의 양변에 행렬  의 덧셈의 역원  를 더하여 간단히 하면 다음 결과를 얻습니다.[15]

 

따라서 행렬의 덧셈과 뺄셈으로 이루어진 등식은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으로 이루어진 등식과 같이 이항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행렬의 실수배의 뜻과 그 연산 편집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행렬  의 각 성분을  배한 것을 성분으로 하는 행렬을 행렬   배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행렬의 실수배는 다음과 같습니다.[16]


행렬의 실수배

 와 실수  에 대하여  


행렬  와 영행렬  가 같은 꼴이고  가 실수일 때, 행렬의 실수배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17]

 


행렬의 실수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행렬의 실수배에 대한 성질

같은 꼴의 두 행렬  와 두 실수  에 대하여

 
 


행렬의 곱셈의 뜻과 그 연산 편집

두 행렬  에 대하여 행렬  의 열의 개수와 행렬  의 행의 개수가 같을 때, 행렬  의 제 행의 성분과 행렬  의 제 열의 성분을 각각 차례로 곱하여 더한 값을   성분으로 하는 행렬을 두 행렬  의 곱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18] 이때 행렬    행렬이고 행렬    행렬이면 행렬    행렬입니다. 예를 들어   행렬의 덧셈은 다음과 같습니다.[19]


행렬의 곱셈

 일 때,

 


한편 수의 거듭제곱과 마찬가지로 정사각행렬  에 대하여

 

와 같이 행렬의 거듭제곱을 정의합니다.[20][21][22]

두 실수  에 대하여 교환법칙  가 성립함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 : 입니다. 즉 행렬의 곱셈에서는 실수의 곱셈에서와는 달리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행렬의 곱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행렬의 곱셈에 대한 성질

합과 곱이 정의되는 세 행렬  와 실수  에 대하여

 
 (결합법칙)[23]
 
 (분배법칙)
 


두 행렬  에 대하여

 

입니다.[24] 그런데 행렬의 곱셈에서는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어떤 두 행렬  에 대하여

 

입니다.

정사각행렬  와 같은 꼴의 영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합니다.[25] 그러나 같은 꼴의 정사각행렬  에 대하여

 이지만  

인 경우가 있습니다.[26] 예를 들어  일 때,  이지만  입니다.

단위행렬의 뜻 편집

실수의 집합에서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입니다. 행렬의 집합에서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행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사각행렬 중에서

 

과 같이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는 대각선 위의 성분은 모두  이고, 그 외의 성분은 모두  인 정사각행렬을 단위행렬이라고 하며, 보통 기호  로 나타냅니다.[27][28][29]

두 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차 단위행렬일 때, 임의의  차 정사각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합니다. 따라서  차 단위행렬   차 정사각행렬의 집합에서 곱셈에 대한 항등원입니다.[30][31]

역행렬의 뜻 편집

실수의 연산에서  이 아닌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실수   의 곱셈에 대한 역원임을 알고 있습니다.

한편 두 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   를 계산한 결과가 모두 단위행렬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같은 꼴의 정사각행렬  와 단위행렬  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는 행렬  가 존재할 때,   역행렬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32][33] 이때 역행렬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합니다.[34]

 

이차 정사각행렬의 역행렬 편집

이차 정사각행렬  의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과 그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행렬  의 역행렬  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이므로

 

입니다. 따라서 두 행렬이 서로 같을 조건으로부터 다음 두 연립방정식을 얻습니다.

 

 에서

 

 에서

 

그런데  이면  에서  이므로  가 되어  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입니다. 이때  에서

 

입니다. 따라서 행렬  의 역행렬  는 다음과 같습니다.

 

역으로  이면 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 행렬  는 행렬  의 역행렬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차 정사각행렬의 역행렬

행렬  에 대하여

 일 때,  의 역행렬이 존재하고

 

 일 때,  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정사각행렬  의 역행렬  가 존재할 때,

 

이므로  의 역행렬이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입니다. 또 두 정사각행렬  의 역행렬  가 존재할 때,

 
 

이므로  의 역행렬이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입니다.[35][36]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37][38][39]


역행렬의 성질

두 정사각행렬  의 역행렬  가 존재할 때,

 

 

참고 편집

  1. 행렬(行列)을 영어로 matrix, 성분(成分)을 영어로 entry라고 합니다.
  2. 여기서는 행렬의 성분이 실수인 경우만 다루기로 합니다.
  3. 행(行)을 영어로 row, 열(列)을 영어로 column이라고 합니다.
  4.   행렬은 '  by   행렬'이라고 읽습니다.
  5. 정사각행렬(正四角行列)을 영어로 square matrix라고 합니다.
  6. 두 행렬  가 서로 같지 않을 때,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
  7. 두 행렬  가 같을 꼴일 때,
     
  8. 같은 꼴이 아닌 두 행렬의 덧셈은 정의되지 않습니다.
  9. 두 행렬  가 같을 꼴일 때,
     
  10. 행렬의 덧셈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를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와 같이 나타내기도 합니다.
  11. 영행렬(零行列)을 영어로 zero matrix라고 합니다.
  12. 같은 꼴이 아닌 두 행렬의 뺄셈은 정의되지 않습니다.
  13. 두 실수  에 대하여
     
  14. 두 행렬  가 같을 꼴일 때,
     
  15.  가 실수일 때,
     
  16.  이고  가 실수일 때,
     
  17. 실수  에 대하여
     
  18. 두 행렬  의 곱  는 행렬  의 열의 개수와 행렬  의 행의 개수가 같을 때에만 정의됩니다.
  19. 두 행렬  이고  일 때,
     
  20.  입니다.
  21. 행렬의 곱셈의 정의에 의하여  가 정사각행렬일 때에만 행렬의 거듭제곱  이 정의됨을 알 수 있습니다.
  22.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23. 행렬의 곱셈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를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와 같이 나타내기도 합니다.
  24. 두 행렬  에 대하여
     
  25. 실수  에 대하여
     
  26. 두 실수  에 대하여
     
  27. 단위행렬(單位行列)을 영어로 unit matrix라고 하며, 기호  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28.  은 각각 이차, 삼차 단위행렬입니다.
  29. 행렬  가 단위행렬일 때,
     
  30.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31. 행렬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합니다.
     
    위의 등식을 케일리-해밀턴 정리라고 합니다. 케일리-해밀턴 정리는 정사각행렬  에 대하여   ( 은 자연수,  는 실수)의 꼴로 나타내는 데에 편리합니다.
  32. 역행렬(逆行列)을 영어로 inverse matrix라고 합니다. 또  는 ' 의 역행렬' 또는 '  inverse'라고 읽습니다.
  33. 여기서는 역행렬을   행렬인 경우만 다루기로 합니다.
  34. 단위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
     
  35.  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6. 세 정사각행렬  의 역행렬  가 모두 존재할 때,
     
  37. 역행렬이 존재하는 정사각행렬  와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38. 역행렬이 존재하는 정사각행렬   이 아닌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39. 역행렬이 존재하는 두 정사각행렬  와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